누구에게나 유익하고, 지구를 지킬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전기절약이라고 합니다.
에너지분야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전기요금도 아끼고, 탄소중립도 달성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에너지효율화를 통해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에너지 캐시백
신청대상
에너지 절약에 대한 의지가 있는 전국 일반 가정 중 주택용 전기사용자
(아파트단지) 고압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관리사무소
(개별가정) 가족구성원 중 1인 또는 전기사용자계약자 본인
※ 절감기간 동안의 실거주(전입신고) 고객
- 고압아파트에 거주하는 개별 가정 : 가족구성원 중 1인이 신청
- 한전 고객번호가 있는 개별 가정 : 전기사용계약자 본인이 신청
※ 타 한전 소비자 행동변화프로그램과 중복참여 불가합니다.
신청방법
한국전력 EN:TER에서 가입
한전 사이버지점 아이디로 로그인 후 서비스 신청 가능합니다.
https://cyber.kepco.co.kr/
cyber.kepco.co.kr
신청기간
2023년 1월 30일 ~ 2월 28일
에너지절감 활동기간은 2023년 1월 ~ 6월입니다.
1월 가입자는 1월분부터, 2월 가입자는 2월분부터 절감활동기간
※ 지급대상 선정 및 지급 : 2023년 8월 예정
2023년 하반기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사업은 6월 7일(수) 09:0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.
캐시백 지급대상
최소절감률(3%) 및 한전 사업소별 평균 절감률보다 높은 절감률을 달성한 참여자
* 아파트 단지는 참여 아파트 단지와 개별가정은 참여개별 가정과 각각 비교
절감량 산정 | 과거 2년간 동기간 평균 사용량 - 절감 활동기간 사용량 * 과거 1개년 전기 사용량만 있을 경우 1개년 적용 |
---|---|
절감률 산정 | (달성 절감량 / 과거 2년간 동기간 평균 사용량) x 100 |
평균절감률 산정 | 한전 사업소별 참여 아파트단지, 개별가저으이 전체 절감량을 기준으로 계산 사업소별 참여자 전체의 총 절감량 / 과거 2년 총 평균사용량 |
캐시백 지급기준
개별가정의 경우 절감량(kWh) x 30원이며, 아파트단지의 경우 절감량 기준 구간별 정액으로 지급됩니다.
* 단지 내 개별가정이 개시백을 지원받은 절감량 제외
절감량(MWh) | ~10이하 | ~30이하 | ~50이하 | ~70이하 | ~90이하 | ~110이하 | ~130이하 | 130초과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금액(천원) | 200 | 600 | 1,200 | 1,800 | 2,400 | 3,000 | 3,600 | 4,000 |
절감률 30%에 해당하는 절감량만큼만 지급되며, '현금, 전기요금청구서, 기부' 중 지급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전기요금 청구서(혹은 관리비 청구서)에서 납부처리
- 현금 지급(한전과 계좌이체약정 필요)
- 기부(사회복지공동모금회)
캐시백 산정, 계산방법 예시 및 상세한 정보는 한국전력 에너지마켓플레이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한전 엔터 에너지마켓플레이스 EN:TER
www.en-ter.co.kr
하반기부터는 절감량에 따라 기존 30원/kWh에서 추가로 30~70원/kWh을 더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전기요금도 줄이고 에너지캐시백도 받을 수 있도록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'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름철 절전 요령 전기 절약 행동 안내 (0) | 2023.06.01 |
---|---|
우회전 일시정지 위반행위, 우회전 하는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3.05.31 |
여행가는 달 여행 혜택 모아보기(교통, 숙박, 놀거리 혜택 요점 정리) (0) | 2023.05.30 |
2023년 스마트 디지털 민방위 교육 안내 (0) | 2023.04.13 |
벚꽃 개화시기 및 봄바람 휘날리는 벚꽃 명소 소개 (0) | 2023.03.23 |
댓글